2025 인구주택총조사 참여방법
2025 인구주택총조사 — 일정·참여방법·핵심포인트 정리
핵심 요약
인터넷·전화조사: 2025.10.22 ~ 10.31
방문면접조사(조사원): 2025.11.01 ~ 11.18
조사기준시점: 2025-11-01 00:00 (표본 약 5백만 가구 대상).
방문면접조사(조사원): 2025.11.01 ~ 11.18
조사기준시점: 2025-11-01 00:00 (표본 약 5백만 가구 대상).
위 일정과 표본정보는 통계청과 지방자치단체 안내를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
조사 대상·방법 (간단)
- 대상: 표본조사구 내 상주하는 모든 내·외국인과 거처 (전국 약 20% 표본, 약 500만 가구).
- 방법: 인터넷(PC/모바일)·전화 응답 우선 → 미응답 가구는 방문면접(태블릿 PC)으로 조사.
- 지원: 다국어 상담(중국어·베트남어 등) 및 안내문 우편 발송.
이번 주기(2025)의 주요 변경사항
- 표본조사항목은 총 55개로 유지되었으며, 신규항목 7개·중지 7개·수정 18개가 반영되었습니다.
- 주요 신규항목: 가족돌봄시간, 결혼계획·의향, 가구내 사용언어, 한국어 실력, 임대주체 등.
- 응답부담 경감을 위해 행정자료로 대체되는 항목이 확대되었습니다.
인터넷(자가응답)으로 빠르게 참여하는 방법
- 조사안내문 우편 또는 안내문에 있는 참여번호 확인(우편 도착 1~3일 전 통지).
- 공식 홈페이지(또는 모바일 QR) → 참여번호 입력 → 설문 작성(약 5~15분 수준).
- 모바일로 작성 시 최적화된 모바일조사표가 제공됩니다.
팁: 방문조사가 시작되기 전에 인터넷으로 미리 응답하면 시간도 절약되고 조사원 방문을 피할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(FAQ)
- Q1. 조사에 응하면 개인정보가 유출될 위험은 없나요?
- A. 통계법에 따라 응답 내용은 익명 집계 처리되며, 조사목적 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. 안심하고 참여하셔도 됩니다.
- Q2. 해외에 3개월 이상 거주하면 조사 대상인가요?
- A. 해외 3개월 이상 거주 또는 거주 예정인 분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 단, 기숙·사회시설 등은 전수조사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.
- Q3. 응답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?
- A. 표본항목 기준으로 보통 약 5~15분 수준이며, 가구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